AMA 1화도 함께 시청해보세요!
[👉🏻 AMA 1화 보러가기→ ]
Summary
“투자한 팀이 파산하면 VC는 어떻게 할까?”
“VC가 스타트업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VC에게 궁금했지만 어디에도 묻기 어려웠던 질문들,
카카오벤처스가 유튜브 구독자 1만 명 돌파를 기념해 AMA(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콘텐츠를 마련했습니다.
AMA 1화에 이어 이번 2화에서는 조현익 수석 심사역이 카카오벤처스의 투자 철학부터 심사역이라는 직업의 매력까지, 다양한 질문들에 솔직하고 깊이 있는 답변을 전합니다.
👀
Chapters
0:00 Intro
0:24 심사역의 시간관리 & 콘텐츠 기획 노하우는?
1:51 안정적인 수익률 VS 초기 스타트업 지원
2:41 카카오벤처스가 스타트업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4:01 가장 기억에 남는 대표님이 있다면?
5:30 투자한 회사가 파산했을 때, 카카오벤처스는 투자회수를 하나요?
7:02 마산 마씨인가요? 👀
7:32 심사역이라는 직업의 매력은? ✨
8:21 오프라인 기반 B2C 투자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10:43 라이벌 VC는? 🔥
영상 속 핵심 답변 모음
Q. 심사역들의 타임 매니지먼트와 콘텐츠 기획 노하우는?
A. 요즘 심사역들의 콘텐츠 기획은 ‘추가 업무’라기보다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활동이에요.
카카오벤처스에서는 심사역들이 각자 투자 분야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팀이 이를 주제로 발전시켜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별도의 타임매니지먼트 비법이 있다기보다,
매일의 미팅과 시장 조사 속에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즉시 내부에 전파해 콘텐츠 소재로 발전시키는 흐름
이 자리 잡혀 있어요.
결국 ‘좋은 콘텐츠’는 하루하루 스타트업과 함께 뛰면서 쌓은 현장의 생각과 경험에서 나옵니다.
Q. 안정적인 수익률 vs 초기 스타트업 지원, 균형은 어떻게?
A. 안정적인 수익률과 초기 스타트업 지원은 서로 다른 목표처럼 보이지만, 카카오벤처스에서는 둘을 별도로 보지 않습니다.
저희가 집중하는 건 당장의 숫자가 아니라 창업가와 사업의 본질이에요.
초기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필요한 사람과 자원을 연결하고
후속 투자로 성장 발판을 마련해 주는 것
이 과정을 하루하루 충실히 해내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률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고 믿습니다.
Q. 투자 결정 기준과 철학은?
A. 카카오벤처스의 투자 철학은 변함없이 “사람을 보고 투자한다”입니다.
시장은 언제든 변할 수 있고, 제품이나 전략도 초기에는 여러 번 바뀌기 마련이에요. 하지만 팀의 역량·속도·성장 곡선은 장기적으로 사업을 이끌 핵심 자산이죠.
특히 저희가 주로 투자하는 시드·프리시드 단계에서는
제품 피벗
시장 재정의
팀 재구성
같은 대규모 변화가 일상처럼 발생합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지금 어떤 전장에 있느냐’보다 그 전장을 어떻게 헤쳐 나갈 수 있는 사람인가가 훨씬 중요합니다.
그래서 시장성과 기술력도 물론 보지만, 최종 결정에서는 사람에 대한 신뢰와 가능성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Q. 심사역 직업의 매력은?
A. VC 심사역의 가장 큰 매력은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아이디어와 팀을 가장 먼저, 가장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다는 것이에요.
호기심 많은 사람이라면, 매일이 배움과 자극의 연속입니다.
내가 직접 해보지 않은 분야라도 창업자와 대화를 통해 깊이 이해할 수 있고
새로운 시장과 기술을 빠르게 경험하며
그 과정에서 쌓인 인사이트를 다음 투자 판단이나 조언에 바로 연결할 수 있죠.
내부에서는 “심사역은 전생에 착하게 산 사람에게 주는 선물 같은 직업”이라는 농담도 있습니다. 그만큼 다양하고 흥미로운 사람·사업·이야기를 접할 수 있는 특권이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함께할까요?